교육제도
캐나다는 교육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그만큼 교육의 비중도 큽니다. 특징적인 것은 교육은 주정부 관할이라 주별로 제도상 다소간의 차이가 있으며 공공교육 기관들은 주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 운영되기 때문에 평준화 되어 있으면서도 수준이 상당히 높습니다. 89개의 학위 수여 학교가 있으면 200개 이상의 전문대학과 700개 이상의 기술학교가 있다. 의무교육은 18세까지이며 공립학교는 학비가 무료입니다. 학교는 공립학교와 천주교 재단에서 운영하는 카톨릭학교로 구분되고 이외 개인이나 단체에서 운영하는 사랍학교도 있지만 이곳은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라도 학비를 따라 내야합니다.
교육제도는 초등교육 (elementary or Primary), 중등교육 (Secondary), 고등교육 (Post-Secondary)의 3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초등부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까지, 중등부는 중.고등학교, 고등부는 종합대학교 (University), 단과대학(College), 기타 전문 교육기관(Institution)을 말하며 퀘벡주는 이외에 CEGEP라 불리는 전문 직업대학을 포함합니다.
학제는 우리나라와 같으며, 학기는 9월초에 시작하여 6월말경에 끝나고 수업 일수는 연간 190일 내지 200일 이며 12월 크리스마스 방학 (약 2주), 3월말경 봄 방학, 6월말경 부터 시작해서 8월말까지 여름방학이 있습니다.
정착 후, 자녀들을 공립학교에 취학시키려면 거주지에서 가까운 관할 교육청(School Board)에 문의하시고 친절하게 설명해줍니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을 위하여 영어교육과정(ESL)반을 가르치는 학교들이 많이 생겼지만 따로 과정이 없이 일반 교과과정을 그대로 수업하며 별도로 ESL만 따로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별 교과 과정
나이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알버타 | Elementary | Junior High | Senior High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브리티쉬 컬럼비아 | Primary | Middle | Secondary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매니토바 | Early Years | Middle Years | Senior Years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뉴 브런즈윅 | Elementary | Middle School | High School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뉴 펀들랜드 | Primary | Elementary | Junior High | Senior High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Level I | Level II | Level III | ||||
노스 웨스트 | Primary | Intermediate | Junior Secondary | Senior Secondary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노바 스코시아 | Elementary | Junior High | Senior High | College | ||||||||||||
Primary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온타리오 | Elementary | Secondary | College | |||||||||||||
Junior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
Elementary | Intermediate | Senior High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퀘벡 | Primary School | Secondary School | College | |||||||||||||
Garderie | Maternelle | 1 | 2 | 3 | 4 | 5 | 6 | Sec I | Sec II | Sec III | Sec IV | Sec V | First | Second | Third | |
새스캐치완 | Elementary Level | Middle Level | Secondary Level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유콘 | Elementary | Junior Secondary | Senior Secondary | College | ||||||||||||
Kindergarte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캐나다는 전반적으로 영미 제도와 유사한 3 학기제 (Semester)이고 9월 새 학기가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 공립 학교인 경우이고 사립학교들은 나름대로 자신들만에 학기 제도를 만들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9월, 1월 그리고 5월에 새 학기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연초에 학기를 시작하는 나라들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유학생들이 한 학년을 끝낸후 유학을 갈 때, 9월까지 기다리기 보다는 5월에 들어 갈 수 있으며, 약간 더 일찍 준비 한다면 1월에도 입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립들이 다 3학기제도를 쓰는 것은 아니며 2학기제를 쓰는 곳도 많이 존재합니다.
입학조건
이민자들은 공립에는 별 까다로운 조건없이 입학을 합니다. 하지만 사립의 입학을 원하면 유학생들과 비슷한 서류를 요구합니다.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1. 성적표 | 공립, 사립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서류입니다. 짧게는 1년, 길게는 지난 3~4년간의 성적표를 요구합니다. |
2. 개별인터뷰 | 개별 인터뷰는 보통 사립학교에서 요구를 하며, 명문이면 명문일수록 인터뷰의 많은 비중을 두게 됩니다. 인터뷰를 통해 학생의 생각과 비젼을 보고 싶어 하고 인재양성을 위해 입학조건이 까다롭습니다. 보통 공립은 유학생의 상황을 잘 알기 때문에 개별 인터뷰가 힘들며 지금 학생이 다니는 학생의 교장 선생님의 추천서를 요구 하기도 하지만, 명문 사립은 거의 대부분 인터뷰를 합니다. |
3. 시험 | 사립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인터뷰외에도 입학 시험을 보는곳이 있습니다. 한국 학생들은 수학은 문제가 거의 없지만, 영어와 수학시험에 나오는 문제를 이해하는 영어 능력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곤란을 겪습니다. |
고등교육
캐나다의 대학은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전문연구기관으로 현재 90여개의 종합대학이 있으며 대부분이 국립대학입니다. 학교에 따라 중점을 두는 전공과목이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이 일정 수준을 보장합니다.
University (종합대학)
Undergraduate (학사 과정)
예술, 순수과학, 공과대학, 경영학 그리고 농과대학처럼 전문성을 요하는 학사 학위는 3년에서 5년이 소요되고, 법학, 종교, 심리, 치의대, 약학 등의 학과들은 학부과정을 마친 뒤 3년을 더 공부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일반학사 (General Bachelor), 패스 학사 (Pass Bachelor Degree) 또는 우수 학사 학위 (Honour Bachelor Degree)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우수 학사 학위는 일반적으로 1년 동안 추가 학업을 요구하는 데 학점 우수자에게만 기회가 주어집니다.
Graduate Programs (대학원 과정)
석사과정은 논문, 연구 보고서 등을 포함해서 보통 2년, 박사과정은 5년이 소요됩니다.
대학 학사학위 과정과 함께 전문대학의 수료증 또는 졸업증명서 수여과정이 동시에 개설되어 있기도 합니다.
Community College (전문대학)
250여 개의 전문대학과 기술교육기관이 있으며, 이들 교육기관은 주정부가 인정한 직업훈련에 대한 학위와 졸업증서를 수여할 수 있고, 기간은 1~3년 입니다. 대부분 종합대학과 결연을 맺고 있어 학교간의 격차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므로 전문대학에서 필요한 학점을 이수하고 종합대학으로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수준의 직업교육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전문적 분야에 대한 실기 위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수한 교육기관 (CEGEP와 OACs)
퀘백주는 중등교육과정이 11학년까지이고 대학진학을 하려면 2년간 대학입학예비과정인 CEGEP(Les College Enseignement General et Professionale)을 이수하여야 하며,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1년의 CEGEP과정 이수가 필수적입니다.